파업을 계기로 과도한 비용이 투입
창원시가 시내버스 파업을 계기로 과도한 비용이 투입되는 시내버스준공영제에 대한 점검과 함께 버스 필수공익사업 지정을 건의할 방침이다.
창원시내버스 9개사 노조는 임금협상 결렬을 이유로 지난달 28일부터 파업에 들어간 뒤 사측과 지난 2일 △임금 3% 인상.
지난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해 창원 시민들은 출근길에, 등굣길에, 병원과 시장, 일터 앞에서 발을 동동 굴러야 했다.
준공영제라는 제도 아래에서조차 반복되는 파업은 무엇이 문제인지, 그 구조적 허점을 직시해야 한다.
많은 연봉을 받는다고 해서 비난받을 이유는 더더욱 없다.
그러나 이런 고연봉 구조가 시민의 세금으로 유지되는준공영제의 산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2000년대 초반 부산 시내버스는 만성 적자와 임금 체불, 빈번한 파업으로 교통.
당장 교통대란은 피했지만, 파업의 불씨는 아직 살아있는 데다 노사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서울 대중교통 체계의 근간인 버스준공영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인건비 부담이 급증하는 가운데 노선 조정이나 감차를 통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
버스 10여 대가 주차돼 있다.
창원시의회 손태화 의장은 3일 입장문을 통해 “시내버스 파업 종료에 대해 시민.
대중교통수단인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해 창원 시민들은 출근길에, 등굣길에, 병원과 시장, 일터 앞에서 발을 동동 굴러야 했다.
준공영제라는 제도 아래에서조차 반복되는 파업에 창원시가 구조적 허점 파악에 나선다.
정부에 대해선 시내버스 필수공익 사업 지정을.
시내버스 노사가 극적으로 합의를 이뤘다.
지난달 28일부터 시작한 노조 파업은 역대 최장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일단락됐다.
준공영제를 도입한 다른 지자체는 파업을 유보하거나 이른 타결로 시민 불편이 없었던 반면 창원은 반복되는 버스 파업 사태에 시민들이 큰.
보이는 시내버스 운영 개선 방안 모색에 나선다.
일정 비율을 반드시 운행하는 ‘필수공익사업’ 지정을 정부에 건의하는 한편,준공영제존폐 여부도 다시 따질 방침이다.
창원 시내버스 파업 첫날인 지난달 28일 한 시민이 임시노선도를 살펴보고 있다.
대한 시민 불편을 성토하는 글들로 도배됐다.
이번 파업으로, 매년 800억 원이 넘는 세금이 투입되는준공영제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준공영제는 민간 버스업체의 경영을 지자체가 일부 맡아 노선 설정 등에 개입하는 대신 적자를 보전해주는 제도로.
시민의 대의기구인 창원시의회에서는 의장을 중심으로준공영제폐지를 검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